시각화 주제
저번에는 구자욱 선수가 어떤 선수인지 연도별 기록을 통해 확인해봤습니다. 이번에는 구자욱선수의 연도별 wRC+와 WAR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선 wRC+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 wRC+는 현존하는 타격 스탯 중 가장 정확한 타격 스탯으로 여겨집니다. Weighted Runs Created의 줄임말로 조점 득점 창출력입니다.
리그 평균을 100으로 두고 110을 기록하면 평균보다 10% 더 득점생산을 한 선수이고 90을 기록하면 평균보다 10% 덜 득점생산을 한 선수라는 의미입니다. wRC+가 115을 넘기면 A급 타자, 140을 넘기면 S급 타자, 160을 넘기면 국가권력급 타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.
wRC+는 타격 지표만 보는 스탯이고 WAR은 선수의 전체 지표를 보는 스탯이라 수비를 못하는 선수는 wRC+는 높지만 WAR은 낮은 경우도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wRC+와 WAR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데이터 출처
현재 KBO선수들의 기록은 다양한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 그중 스탯티즈(https://statiz.sporki.com/)에서 원태인 선수의 기록을 가져왔습니다.
데이터 시각화
연도별 wRC+ & WAR
WAR을 열에 넣고 wRC+를 행에 넣어주었습니다. 그 다음 연도를 마크 → 세부정보에 넣어주었습니다.
추세선을 다항식으로 넣어줍니다. 그 다음 옵션으로 들어가 추세선의 차수를 2로 바꿔줍니다.
그 다음 구자욱 선수의 기록들을 주석으로 넣어줍니다.
wRC+ & WAR 상관관계
분석 →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눌러 wRC+&WAR 상관관계를 만들어 줍니다. 그리고 만들어준 측정값을 마크 → 텍스트로 가져와 줍니다. wRC+와 WAR의 상관관계가 0.7815로 나온 것은 이 두 지표 사이에 상당히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wRC+와 WAR의 상관계수가 0.7815라는 것은 선수가 만들어낸 득점의 양(공격력)이 그 선수의 WAR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. 즉, 공격력이 높은 선수일수록 팀에 더 많은 승리를 가져다 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새로운 대시보드를 만들어 그래프와 상관관계를 가져와 주겠습니다.
'야구 분석 > 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단한 타자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(0) | 2024.04.17 |
---|---|
간단한 투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(2.2) (1) | 2024.04.13 |
간단한 투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(2.1) (0) | 2024.04.10 |
간단한 투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(2) | 2024.04.06 |